제1장. 지리교육의 이데올로기와 패러다임
3. 지리교육의 패러다임
3) 실증주의 지리교육 vs 인간주의 지리교육
(3) 브루너: 패러다임적 사고 vs 내러티브적 사고
글상자 1.1
내러티브와 지리교육
1. 내러티브의 의미
내러티브는 스토리를 가진 이야기, 즉 시간적 연쇄로 이루어진 일련의 사건들이다. 이러한 내러티브에는 소설, 수필 등 문학작품과 영화, 텔레비전 쇼, 신화, 일화, 뮤직 비디오, 만화, 회화, 광고, 전기 그리고 뉴스 기사 등이 포함된다.
2. 내러티브 담론 vs 설명적 담론
내러티브 담론/텍스트(narrative discourse/text)와 설명적 담론/텍스트(expository discourse/text)의 차이점은 다음과 같다.
내러티브 담론과 설명적 담론의 차이점 내러티브 담론 - 과거형 시제를 통해 연대순으로 진술되어 있으며, 1인칭 또는 3인칭의 행위자(화자)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 플룻을 통해 이야기하는 다양한 상황과 사건이 시간의 흐름에 따라 주제와 함께 결합되면서 갈등, 불확실한 결과, 상반된 관점, 긴장의 순간 등을 구체화한다.
- 내러티브 담론의 목적은 언어 또는 문자를 사용하여 픽션 또는 논픽션의 이야기를 말하는 것이다.설명적 담론 - 연대순이라기보다는 논리적 순서에 의해 진술된다.
- 사실, 주제, 개념, 원리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으며, 무엇보다 행위자(화자)가 없는 비인칭의 주술관계를 이루고 있다.
- 설명적 담론의 목적은 기술 또는 설명을 제공하는 것이다.
3. 내러티브의 지리교육적 가치
맥파트랜드는 내러티브의 지리교육적 가치를 다음과 같이 5가지로 제시한다.
내러티브의 지리교육적 가치 지리적 상상력의
발달- 지리적 상상력이란 장소와 그곳에 거주하는 사람들의 이미지를 구성하거나 재구성하는 능력이다(McPartland, 1998: 346).
- 인간과 장소에 대한 개인의 경험과 타인의 경험이 표상된 내러티브를 통한 학습은, 학생들로 하여금 특별한 장소와 상호작용하고 특정한 인간의 이미지를 구성하거나 재구성하도록 함으로써 지리적 상상력을 연습하도록 도와준다.감정이입적/
공감적 이해의 발달- 감정이입적/공감적 이해란 내러티브에 등장하는 행위자의 의도와 사상, 감정 등을 이해하는 것이다.
- 감정이입은 학생들로 하여금 타인의 입장에서 지리적 현상에 대해 생각하도록 해 주며, 지리적 현상을 다양한 시각에서 바라보도록 도와준다.지리적 지식과
이해의 발달- 내러티브는 기본적으로 지리적 사실을 쉽게 기억하기 위한 전략으로 활용될 수 있다. 지리학습에서 지리적 사실은 설명과 이해에 앞에 인지해야 할 기본이 되는 요소이다.
- 이야기는 특히 마음 속에 깊은 인상을 주기 위해 강력한 이미지를 만들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대중의 마음 속에 오랜 기억으로 남게 된다(Egan, 1986).사고기능의 발달 - 내러티브를 지리수업에서 어떻게 활용하느냐에 따라(예: 불일치 자료 전략) 지리적 사고를 촉진할 수 있다. 지리 수업자료와
교수내욕지식(PCK)
으로서의 역할- 내러티브는 교사가 내용을 전달하는 주요한 수단이나 방식, 즉 '교수내용지식'으로서 기능하기도 한다.
- 교사가 알고 있는 이야기들은 내러티브를 통해 교수내용지식으로 변형된다(Gudmundsdottir, 1995).
'지리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리교육] 1.3 지리교육의 패러다임(4) - 구조주의(급진주의): 사회비판 지리교육, 포스트모더니즘: 다양성과 지리교육 (1) | 2025.04.14 |
---|---|
[지리교육] 1.3 지리교육의 패러다임(2) - 실증주의 지리교육 vs 인간주의 지리교육 (0) | 2025.04.13 |
[지리교육] 1.3 지리교육의 패러다임(1) - 실증주의, 인간주의 (0) | 2025.04.12 |
[지리교육] 1.2 지리교육의 이데올로기 (0) | 2025.04.10 |
[지리교육] 1.1 교육의 이데올로기 (0) | 2025.04.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