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지리교육

[지리교육] 1.2 지리교육의 이데올로기

by moonkang02 2025. 4. 10.

제1장. 지리교육의 이데올로기와 패러다임

 

2. 지리교육의 이데올로기

 

1) 존스톤의 분류

영국의 지리학자 존스톤(Johnston, 1986)은 지리교육에 대한 이데올로기적 접근을 시도하지는 않았지만, 하버머스(Habermas)의 지식의 유형의 관점에 토대하여 지리학의 패러다임을 다음과 같이 분류하였다. 이러한 3가지 범주가 일반적으로 지리교육에 대한 이데올로기적 접근의 기초가 된다.

  • 기술적 통제로서의 지리(geography as technical control): '실증주의' 지리학을 의미하는 것으로 세계를 예측하고 조작할 수 있는 능력을 강조하는 지리지식의 관점이다.
  • 상호적 이해로서의 지리(geography as mutual understanding): '인간주의' 지리학을 의미하며, 세계에 대한 인식과 이해를 강조하는 지리지식의 관점이다.
  • 해방으로서의 지리(geography as emancipation): '실재론 또는 구조주의' 지리학과 관련되며, 세계를 구성하는 영향력에 대한 비판적 이해를 강조하는 지리지식의 관점이다.

 

2) 월포드의 분류

영국의 지리교육학자 월포드(Walford, 1981: 215-222)는 미국의 교육학자 아이즈너(Eisner, 1979)가 범주화한 교육적 이데올로기[자유주의적 인문주의 전통, 아동 중심(진보주의) 전통, 실용주의 전통, 재건주의 전통]에 기반하여 지리 교육과정 및 지리교수에 영향을 미치는 이데올로기를 표1-2와 같이 4가지로 제시하였다.

 

표 1-2. 월포드의 지리교육 이데올로기

자유주의적 인문주의
전통에 따른 지리교육
- 피터스(Peters), 허스트(Hirst), 오크쇼트(Oakeshott) 등 자유주의 교육학자들이 주장하는 것처럼 교사가 가치있다고 여겨지는 지리적 지식을 학생들에게 전수하여 입문하도록 하는 주지주의 교육을 말한다.
아동 중심 전통에 따른
지리교육
- 듀이(Dewey)와 같은 진보주의 교육학자가 주장하는 것처럼 아동의 일상적인 경험을 중시하고 아동의 자아발달과 성숙한 인간 육성을 목표로 한다.
- 학생 중심 지리교육 또는 (일상)생활 중심 지리교육의 이론적 기반을 제공한 인간주의 지리교육과 밀접하게 관련된다.
실용주의 전통에 따른
지리교육
- 교육의 쓸모(직업을 얻기 위한)를 강조하며, 교육을 사회적/국가적 요구를 실현하기 위한 도구적(수단적) 가치로 간주한다.
재건주의 전통에 따른
지리교육
- 교육을 사회적/공간적 불평등을 해소하여 사회정의를 실현하기 위한 해방적 가치로 간주한다.

 

3) 슬레이터의 분류

슬레이터(Slater, 1992: 103-104) 역시 아이즈너(Eisner, 1979)의 교육적 이데올로기에 기반하여 지리교육 이데올로기 및 패러다임을 보다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즉, '실증주의 지리학'을 '실용주의'와, '인간주의 지리학'을 '진보주의 및 자유주의'와  '급진적 구조주의 지리학'을 '재건주의'와 각각 연계시켜 지리교육적 이데올로기를 상정하고 각각의 특징을 논의하였다.

특히, 그녀는 피터스(Peters)의 지식의 형식(forms of knowledge)과 입문(initiation)으로서의 교육관에 기초하여, 지리교육적 이데올로기의 범주화의 의의를 설명한다. 지리교육적 이데올로기는 각각 상이한 개념군과 검증방법을 가지는 일종의 지식의 형식으로서, 지리교육은 이러한 상이한 이데올로기와 언어를 수용하여 다른 관점으로 나아가야 한다는 것이다. 그렇게 될 때 지리교육은 학생들로 하여금 다른 관점으로 나아가도록 할 수 있으며, 그들로 하여금 새로운 관점을 발견할 수 있도록 기여한다는 것이다.

슬레이터(Slater, 1992: 97)에 의하면, 지리교육적 이데올로기는 서로 다른 가치와 견해를 반영하는 명백한 언어와 어휘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지리교육이 나아갈 방향과 범위를 제공한다. 또한 상이한 지리교육적 이데올로기는 각각의 개념군과 검증방법이 있기 때문에 교사들이 어떤 이데올로기적 관점을 갖고 수업을 계획하느냐에 따라 교수전략이 달라져야 한다.

 

표 1-3. 지역지리학 이후 지리학의 패러다임

패러다임 입장 우선사항/가치 강조 개념/언어
과학적(실증주의)
패러다임
- 일반화
- 추론
- 예측
- 모델링
- 공간
- 패턴
- 분석
- 법칙
- 변수
- 가설 검증
- 문제해결
인간주의
패러다임
- 개인적 이해
- 개인적 의미
- 해석
- 장소, 인간
- 장소감
- 아름다운 장소
- 추악한 장소
- 느낌
- 표현
- 장소 상실
진보적/급진주의적 패러다임 - 사회를 이해하기
- 사회를 비판하기
- 사회, 구조
- 조직
- 권력
- 기득권
- 집단
- 압력단체
- 이기주의
- 평등/불평등

(Slater, 1992)

 

표 1-4. 지리교육에서의 이데올로기와 언어

지리교육의 이데올로기 개념군 검증방법(설명과 이해의 방법)
전통적/보수적
접근
실증주의 공간, 공간패턴, 공간관계, 공간프로세스, 인간과 환경의 상호작용, 집합적 행동 분석, 예측과 모델링, 일반화와 법칙, 연역적 추론, 가설 검증, 문제해결, 지각과 결정 분석, 의사결정
자유주의적/
해석학적 접근
인간주의 장소, 인간과 장소, 장소감, 장소의 혼, 사적지리 개인적 이해, 개인적 의미, 해석, 성찰, 감정이입, 내부자와 외부자의 입장, 개인적 반응의 분석
사회비판적
접근
구조주의 사회, 구조, 이익집단, 권력, 시/공간에서의 기득권적 이해관계, 사회복지, 사회정의, 급진적 이해, 사회/역사적 이해 비판적 분석, 비판이론, 사회이론과 분석, 사회/정치적 분석, 해석, 비판적 성찰
포스트모던 장소의 복합적 실재, 공간 실천, 텍스트로서의 경관, 점이적 장소, 차이의 공간, 장소와 정체성, 사회/문화적 특징, 공간에 대한 감각적 경험 비판적 분석, 해석, 성찰, 해체, 공간의 실재와 표상의 이해

(Slater, 1992: 103; Slater, 1994: 150; Slater, 1996: 209의 것을 토대로 재구성함)

 

표 1-5. 지리교육의 이데올로기 비교

  실증주의 인간주의 구조주의
하버머스 기술적 관심 실천적 관심 해방적 관심
파이너 전통주의자 실존적 재개념주의자 구조적 재개념주의자
존스턴 기술적 통제로서의 지리 상호적 이해로서의 지리 해방으로서의 지리
아이즈너 자유주의 실용주의 진보주의 재건주의
월포드 자유주의적 인문주의 전통에 따른 지리교육 실용주의 전통에 따른 지리교육 아동 중심 전통에 따른 지리교육 재건주의 전통에 따른 지리교육
슬레이터 과학으로서의 지리 개인적 반응으로서의 지리  
브루너 패러다임적 사고 내러티브적 사고  

* 실증주의와 실용주의는 어느 정도 공통점도 있지만 차이점도 많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