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30

[지리교육] 1.3 지리교육의 패러다임(4) - 구조주의(급진주의): 사회비판 지리교육, 포스트모더니즘: 다양성과 지리교육 제1장. 지리교육의 이데올로기와 패러다임 3. 지리교육의 패러다임 4) 구조주의(급진주의): 사회비판 지리교육 (1) 배경사회비판 지리교육은 실재론 또는 구조주의 지리학을 배경으로 한다. 실재론 또는 구조주의 지리학은 사람들에게 세계를 구축하는 메커니즘과 기저에 놓여 있는 영향력에 대한 이해를 제공한다. 구조주의는 인간 세계에서 발생하는 모든 일들은 개인에 의해서가 아니라 우리 자신의 통제와 실행 범위를 넘어서 있는 익명의 구조에 의해서 그것의 형태와 기능이 궁극적으로 결정된다고 주장하는 철학이다. 예를 들면, 우리는 개별적인 여자와 남자로서 도시 주변에서 행동하고 이동할지 모르지만, 우리 활동의 본질은 우리의 삶을 구성하는 젠더 관계라는 보다 심층적인 구조에 의해 결정된다는 것이다(Morgan and .. 2025. 4. 14.
[지리교육] 1.3 지리교육의 패러다임(3) - 내러티브와 지리교육 제1장. 지리교육의 이데올로기와 패러다임 3. 지리교육의 패러다임 3) 실증주의 지리교육 vs 인간주의 지리교육 (3) 브루너: 패러다임적 사고 vs 내러티브적 사고 글상자 1.1내러티브와 지리교육1. 내러티브의 의미내러티브는 스토리를 가진 이야기, 즉 시간적 연쇄로 이루어진 일련의 사건들이다. 이러한 내러티브에는 소설, 수필 등 문학작품과 영화, 텔레비전 쇼, 신화, 일화, 뮤직 비디오, 만화, 회화, 광고, 전기 그리고 뉴스 기사 등이 포함된다.2. 내러티브 담론 vs 설명적 담론내러티브 담론/텍스트(narrative discourse/text)와 설명적 담론/텍스트(expository discourse/text)의 차이점은 다음과 같다. 내러티브 담론과 설명적 담론의 차이점내러티브 담론- 과거형 시.. 2025. 4. 14.
[지리교육] 1.3 지리교육의 패러다임(2) - 실증주의 지리교육 vs 인간주의 지리교육 제1장. 지리교육의 이데올로기와 패러다임 3. 지리교육의 패러다임 3) 실증주의 지리교육 vs 인간주의 지리교육 (1) 슬레이터: 과학으로서의 지리 vs 개인적 반응으로서의 지리슬레이터(Slater, 1993)는 지리를 '과학으로서의 지리(geography as science)'와 '개인적 반응으로서의 지리(geography as personal response)'로 구분한다(표 1-6). 표 1-6. 과학으로서의 지리와 개인적 반응으로서의 지리과학으로서의지리- 실증주의 패러다임에 근거한 지리 → 객관적 지식에 초점- 공간에 대한 객관적이고 분석적인 탐구를 강조- 추상화된 현실의 모형 작성, 추론하는 기술 강화- 대부분의 학교교육에서 잘 정립되어 있으며, 계속해서 지리교육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2025. 4. 13.
[지리교육] 1.3 지리교육의 패러다임(1) - 실증주의, 인간주의 제1장. 지리교육의 이데올로기와 패러다임 3. 지리교육의 패러다임 1) 실증주의: 공간과학으로서의 지리교육 (1) 목적: 지리적 설명(사회를 예측하고 조작할 수 있는 능력경험주의와 실증주의 과학은 경험의 세계에서 작동하고 중립성을 가정한다. 즉 관찰자 외부에 존재하는 데이터의 수집을 중요시한다. 실증주의 과학은 획득된 데이터를 사용하여 일반적인 법칙을 구축한다. 이렇게 구축된 법칙들은 사건을 설명하고 예측하는 데 사용된다. 따라서 실증주의 과학이 추구하는 목적은 '지리적 설명(geographical explanation)'에 있다.실증주의는 경험적/분석적 지식을 중요시하며, 기술적 통제(technical control)의 이데올로기와 연결된다. 이런 지식은 본질적으로 보수적인 것으로 간주된다. 왜냐하면 .. 2025. 4. 12.
[지리교육] 1.2 지리교육의 이데올로기 제1장. 지리교육의 이데올로기와 패러다임 2. 지리교육의 이데올로기 1) 존스톤의 분류영국의 지리학자 존스톤(Johnston, 1986)은 지리교육에 대한 이데올로기적 접근을 시도하지는 않았지만, 하버머스(Habermas)의 지식의 유형의 관점에 토대하여 지리학의 패러다임을 다음과 같이 분류하였다. 이러한 3가지 범주가 일반적으로 지리교육에 대한 이데올로기적 접근의 기초가 된다.기술적 통제로서의 지리(geography as technical control): '실증주의' 지리학을 의미하는 것으로 세계를 예측하고 조작할 수 있는 능력을 강조하는 지리지식의 관점이다.상호적 이해로서의 지리(geography as mutual understanding): '인간주의' 지리학을 의미하며, 세계에 대한 인식과 이해.. 2025. 4. 10.
[지리교육] 1.1 교육의 이데올로기 제 1장. 지리교육의 이데올로기와 패러다임 1. 교육의 이데올로기  교육에는 다양한 사고의 형식을 반영하는 이데올로기와 언어가 존재한다. 이데올로기는 세계에 대한 우리 자신, 우리 자신에 대한 세계를 설명하기 위해 작동하는 일련의 가치와 신념이다. 쉽게 말하면, 이데올로기란 세계를 바라보는 총체적인 방법을 제공하는 다양한 신념과 가치체계이다.  패러다임(paradigm)은 어떤 한 시대 사람들의 견해나 사고를 근본적으로 규정하고 있는 테두리로서의 인식의 체계 또는 사물에 대한 이론적인 틀이나 체계이다.  우리가 교육 및 지리교육의 이데올로기와 패러다임에 주목한다면, 교육 및 지리교육을 바라보는 다양한 관점을 이해할 수 있다. 여러 학자들은 교육 및 지리교육의 이데올로기와 패러다임 분류를 시도하였는데, 그.. 2025. 4. 10.